반응형

전체 글 74

혈중 전해질(Electrolyte Battery)

혈중 전해질은 혈액 속에 녹아 있는 물질로, 전기적으로 충전된 이온들을 의미합니다. 주요한 혈중 전해질로는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칼슘(Ca2+), 인(Pi), 마그네슘(Mg2+) 등이 있습니다. 이들 전해질은 신체의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수분 및 전기적 균형 나트륨과 칼륨은 세포 밖과 세포 안의 수분 및 전기적 균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합니다. 나트륨은 주로 세포 외부에 있으며, 칼륨은 세포 내부에 존재합니다. 이 균형은 세포의 기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신경 및 근육 기능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신경 및 근육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신경 전달, 근육 수축 및 이완, 신경 및 근육 세포의 전기 활동을 조..

혈액검사 2024.02.09

신장 기능 평가 검사 -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

eGFR는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추정 사구체 여과율)"의 약어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혈액 속의 크레아티닌 농도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신장이 혈액에서 노폐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지를 나타냅니다. eGFR은 일반적으로 밀리리터 단위로 표시되며, 높을수록 신장 기능이 좋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보통 다음의 범주로 나뉩니다. 정상: 90 mL/min/1.73m² 이상 경도 신손상: 60-89 mL/min/1.73m² 중등도 신손상: 30-59 mL/min/1.73m² 심각한 신손상: 15-29 mL/min/1.73m² 말기 신부전: 15 mL/min/1.73m² 미만 또는 투석 환자 eGFR은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

혈액검사 2024.02.09

신장 기능 평가 검사 - 혈중 요산(Uric acid)

혈중 요산(serum uric acid)은 체내에서 대사 되는 퓨린(다당체)의 대사산물 중 하나입니다. 요산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대부분의 요산은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됩니다. 혈중 요산의 측정은 특정 질환의 평가와 관리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혈중 요산의 주요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통풍 진단과 모니터링 요산은 통풍이라는 관절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통풍은 관절에 요산 결정이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로, 혈중 요산 수치가 높아질 경우 통풍 발병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혈중 요산 수치는 통풍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사용됩니다. 2. 신장 질환 평가 일부 경우에는 신장이 요산을 충분히 배설하지 못해 혈중 요산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장 질환의 표시일..

혈액검사 2024.02.09

신장 기능 평가 검사 - 혈중 요소질소(BUN)

혈중 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는 혈액 내에서 생성된 아미노산의 분해 부산물로, 주로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됩니다. BUN은 혈액화학검사에서 측정되며, 이는 주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혈중 요소질소의 주요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장 기능 평가 BUN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기 때문에 혈중 BUN 수치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고 배설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BUN이 생성되어 증가합니다. 만약 신장이 노폐물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면 BUN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체액 및 전해질 상태 평가 BUN 수치는 혈액 내의 수분 상태와 전해질 농도에 대한 정보도 제공합니다...

혈액검사 2024.02.09

신장 기능 평가 검사 - 혈 중 크레아티닌(Creatinine)

혈중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혈액 내에서 생성되고, 주로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되는 물질입니다. 혈중 크레아티닌의 측정은 신장 기능을 평가하고, 신장 질환이나 기능 저하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질수록 신장 기능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의 주요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장 기능 평가 크레아티닌은 혈액에서 신장으로 걸러지고, 그 후에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따라서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는 신장이 혈액에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질수록, 신장 기능이 감소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신장 질환 진단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이는 신장 질환,..

혈액검사 2024.02.08

신장 기능 평가 검사의 종류

혈액으로 하는 신장 기능 평가는 다양한 혈액 검사를 통해 수행됩니다. 주로 사용되는 신장 기능 검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혈중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혈액 내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높은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의 감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혈중 요소질소(BUN) BUN은 혈액 내의 요소질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아미노산의 분해 생성물입니다. BUN 수치 역시 신장 기능의 평가에 사용됩니다. 3. 혈중 요산 요산은 DNA 대사의 부산물로, 일부는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요산 수치가 높을 경우, 신장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다른 건강 문제가 있을 수 있습..

혈액검사 2024.02.08

혈당 검사(당뇨검사) - HbA1c

HbA1c는 혈중의 헤모글로빈과 글루코스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글라이코헤모글로빈의 일종입니다. HbA1c는 적혈구 수명 동안 혈액 내의 평균 혈당 수준을 반영하므로, 당뇨병의 관리 및 평가에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HbA1c의 주요 의의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균 혈당 측정 HbA1c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준을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혈당 수치가 높을수록 HbA1c 수치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HbA1c는 길게 늘어난 기간 동안의 혈당 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2. 장기적인 혈당 관리 평가 일상적인 혈당 측정은 특정 시점의 혈당 수준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들이 어떻게 장기간 동안 혈당을 관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HbA1..

혈액검사 2024.02.08

혈당 검사(당뇨검사) - Glucose

Glucose(글루코스)는 당분류에 속하는 단당류의 일종으로, 주로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탄수화물에서 유래합니다. Glucose는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혈액 내에서는 혈당이라 불리는 형태로 순환합니다. 이는 신체의 세포들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루코스의 주요 의의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에너지 공급 식품에서 섭취한 탄수화물은 소화과정을 통해 글루코스로 분해됩니다. 이 글루코스는 혈액을 통해 신체의 모든 세포에 공급되어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신진대사 글루코스는 신체의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의 조절 하에 글루코스는 에너지 저장 형태로 변환되거나, 당분해를 통해 필요한 시점에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혈액검사 2024.02.08

혈당 검사(당뇨검사)의 종류

혈당 검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혈당검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공복혈당 검사(Fasting Blood Glucose Test) 환자가 최소 8시간 동안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후, 아침에 공복 상태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2. 임의(무작위) 혈당 검사(Random Blood Glucose Test) 언제든지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로, 특별한 금식이나 시간 제약이 없습니다. 이 테스트는 주로 일상적인 혈당 모니터링에 사용됩니다. 3. 경구 글루코스 내성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환자는 글루코스를 함유한 음료를 마신 후 일정 시간 동안 여러 차례 혈당을 측정합니다. 이 테스트는 당뇨병이나 당뇨병 전조증..

혈액검사 2024.02.08

간 기능검사-Bilirubin(빌리루빈)

빌리루빈(Bilirubin)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성되는 황색의 산소가 없는 대사산물입니다. 이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부분 분해되어 배설체로 배출됩니다. 빌리루빈은 간 기능과 적혈구 대사에 대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빌리루빈은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존재합니다. 간접 빌리루빈 (Indirect Bilirubin) 적혈구가 파괴되면 혈색소가 빌리루빈으로 변하며, 이것을 간에서 처리하기 위해 알부민과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간접 빌리루빈은 수용성이 낮고 혈중에서는 용이하게 간으로 운반됩니다. 직접 빌리루빈 (Direct Bilirubin) 간에서 간세포에 의해 간담로로 분비되는 간접 빌리루빈입니다. 간담로에서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담즙으로 배설됩니다. 빌리루빈 수치는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를 통해 측정되며,..

혈액검사 2024.02.07
반응형